레위기 4 : 22~35 속죄제(2) : 족장과 평민
족장의 속죄제
22 만일 족장이 그의 하나님 여호와의 계명 중 하나라도 부지중에 범하여 허물이 있었는데
23 그가 범한 죄를 누가 그에게 깨우쳐 주면 그는 흠없는 숫염소를 예물로 가져다가
24 그 숫염소의 머리에 안수하고 여호와 앞 번제물을 잡는 곳에서 잡을지니 이는 속죄제라
25 제사장은 그 속죄 제물의 피를 손가락에 찍어 번제단 뿔들에 바르고 그 피는 번제단 밑에 쏟고
26 그 모든 기름은 화목제 제물의 기름 같이 제단 위에서 불사를지니 이같이 제사장이 그 범한 죄에 대하여 그를 위하여 속죄한 즉 그가 사함을 얻으리라
평민의 속죄제
27 만일 평민의 한 사람이 여호와의 계명 중 하나라도 부지중에 범하여 허물이 밌었는데
28 그가 범한 죄를 누가 그에게 까우쳐 주면 그는 흠 없는 암염소를 끌고 와서 그 범한 죄로 말미암아 그것을 예물로 삼아
29 그 속죄제물의 머리에 안수하고 그 제물을 번제물을 잡는 곳에서 잡을 것이요
30 제사장은 손가락으로 그 피를 찍어 번제단 뿔들에 바르고 그 피 전부를 제단 밑에 쏟고
31 그 모든 기름을 화목제물의 기름을 떠어낸 것같이 떼어내 제단 위에서 불살라 여호와께 향기롭게 할지니 제사장이 그를 위하여 속죄한즉 그가 사함을 받으리라
32 그가 만일 어린 양을 속죄제물로 가져 오려거든 흠없는 암컷을 끌어다가
33 그 속죄제 제물의 머리에 안수하고 번제물을 잡는 곳에서 속죄제물을 잡을 것이요.
34 제사장은 그 속죄제물의 피를 손가락으로 찍어 번제단 뿔들에 바르고그 피는 전부 제단 밑에 쏟고
35 그 모든 기름을 화목제 어린 양의 기름을 떼낸 것같이 떼내어 제단 위 여호와의 화제물 위에서 불사를지니 이같이 제사장이 그가 범죄한 죄에 대하여 그를 위하여 속죄한즉 그가 사함을 받으리라
? 족장과 평민이 죄를 범했을 때 사함받는 길을 제시합니다. 대제사장과 회중이 드린 제물과 피를 뿌리는 곳과 제물을 처리하는 방법이 다릅니다.
? 족장이 부지중에 죄를 범했는데, 누군가 그에게 죄를 깨우쳐 주면 그는 흠 없는 숫염소를 예물로 드려야합니다.
'허물이 있다'(히. 아셈)는 '허물임을 느끼다(깨닫다)'나는 뜻으로 양심의 가책을 받는 거믈 의미 합니다. 말씀을 통해 혹은 누군가의 조언이나 질책을 통해 나의 죄가 드러나거든, 설령 부지주에 범한 죄라도 마음 아프게 여기고 용서를 구해야 합니다. 특히 한 가정과 교회와 세상에서 지도자로서의 결정이 타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성찰해야 합니다.
족장은 흠 없는 숫염소를, 평민은 암염소나 흠없는 어린 암양을 잡아서 죄를 용서받고 번제단을 정결케 했습니다. 대제사장이 수송아지를 바쳤던 것과 다르고, 그 피를 성소의 휘장에 뿌리고 성소 안의 기물에 발랐던 것과도 다릅니다. 제사의 주체에 따라 감당할 책임이 다르고, 오염되는 성소의 범위도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물론 짐승의 피 자체에 효력이 있는 게 아닙니다. 궁극적으로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가 모든 인류의 죄를 용서하고, 은혜의 보좌 앞에 담대히 나아가 하나님과 교제할 수 있도록 우리를 회복합니다, 하지만 각자에게 부여한 자리와 책임에 따라 자신의 선택과 행동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항상 숙고해야 합니다. 특히 만연한 악의 구조 속에서 살고 있으니 나의 선한 결정마저도 누군가의 희생과 고통을 야기하는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음을 생각하면서 하나님의 긍휼과 자비를 구해야 합니다.
대제사장과 온 회중을 위한 속죄제에서는 기름과 콩팥을 제외한 가죽과 모든 고기, 머리, 정강이, 내장과 심지어 배설물까지 제물 전체를 취하여 진영 바깥에서 불살랐습니다.
그런데 족장과 평민의 속제 제물은 이스라엘이 화목제를 드릴 때처럼 기름을 떼어 재단 위에서 태우고, 나머지 고기는 제사장이 거룩한 곳에서 먹을 수 있었습니다.(10 :16~18). 또한 제단 위에서 기름을 태울 때 여호와께 향기로운 제사가 된다고 하십니다. 부지중에 범한 잘못이라도 나중에 깨닫고 즉시 하나님께 용서를 구하는 태도를 기쁘게 여기신 것입니다. 제사장이 그 고기를 먹을 수 있게 하심으로 관계도 회복하십니다.
? 죄는 곧 죽음입니다.
'욕심이 잉태한 즉 죄를 낳고 죄가 장성하여 사망에 이르니라' 작은 욕심을 이기지 못하고, 다스리지 못하면, 결국엔 그 욕심은 채울 수는 있으나 그 결국은 그것으로 인하여 죽음을 면할 수 없게 된다. 하나님 앞에 작은 죄 하나라도 사함 받지 못한다면, 천국에 이르지 못합니다. 삶 가운데 미움, 시기, 질투로 인해 입술로 지은 죄가 얼마나 많은지 헤아릴 수도 없습니다. 그러면서도 어리석게 행동이 아닌 말인데, 라고 죄를 깨닫지 못하고 덮으려는 어리석은 생각에 이르게 됩니다. 주님은 우리의 생각만으로도 그것이 죄를 범한 것이라 분명히 말씀해 주셨음을 기억하고, 내 심중에 저지른 죄에 이르기까지 죄사함의 용서를 구해야 합니다. 스스로 이 땅에 오셔서 십자가에 달리도록 내어 주시기까지 순종하사, 십자가에서 피 한방을, 물 한 방울 남김없이 쏟아 주신 것은, 그 십자가의 보혈로, 죄로 인해 얼룩진 내 심령을 정결하게 하시려는 주님의 뜻을 깨닫고, 아멘으로 화답하게 하옵소서. 오직 주님 안에 죄사함이 있음을 부족한 종의 삶을 통해 널리 전하게 하옵시고,
주님 홀로 존귀와 영광 받으실 것을
주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여호와 샬롬 ~
# 악한 세상에서 정결하고, 정의롭게 사는 길을 보여 주소서.
* 프랑스 카톨릭 당국이 성직자에 의한 아동 성범죄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진실한 회개와 적절한 보상으로 추락한 신뢰를 회복할 수 있게 되기를
주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간구드립니다.
찬송 254장, 내 주의 보혈은
https://youtu.be/QmYqX-QHd1s
'매일성경 - 레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위기 5 : 14~ 6 : 7 속건제 20220307 (0) | 2022.03.07 |
---|---|
레위기 5 : 1~13 속죄제(3) : 가난한 자들의 속죄제 20220306 (0) | 2022.03.06 |
레위기 4 : 1~21 속죄제(1) : 제사장과 회중 20220304 (0) | 2022.03.04 |
레위기 3 : 1~17 화목제 20220303 (0) | 2022.03.03 |
레위기 2 : 1~16 소제 20220302 (0) | 2022.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