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성경 - 사도행전

사도행전 25 : 13-27  베스도의 자문20240624 아그립바와 버니게의 방문  13 수일 후에 아그립바 왕과 버니게가 베스도에게 문

91moses 2024. 6. 24. 06:31

사도행전 25 : 13-27  베스도의 자문20240624

아그립바와 버니게의 방문  
13 수일 후에 아그립바 왕과 버니게가 베스도에게 문안하러 가이사랴에 와서

아그립바에게 조언을 구하는베스도
14 여러날을 있더니 베스도가 바울의 일로 왕에게 고하여 이르되 벨릭스가 한 사람을 구류하여 두었는데
15 내가 예루살렘에 있을 때에 유대인의 대제사장들과 장로들이 그를 고소하여 정죄하기를 청하기에
16 내가 대답하되 무릇 피고가 원고들 앞에서 고소 사건에 대하여 변명할 기회가 있기 전에 내주는 것은 로마 사람의 법이 아니라 하였노라
17 그러므로 그들이 나와 함께 여기 오매 내가 지체하지 아니하고 이튿날 재판 자리에 앉아 명하여 그 사람을 데려왔으나
18 원고들이 서서 내가 짐작하던 것 같은 악행의 혐의는 하나도 제시하지 아니하고
19 오직 자기들의 종교와 또는 예수라 하는 이가 죽은 것을 살아 있다고 바울이 주장하는 그 일에 관한 문제로 고발하는 것뿐이라
20 내가 이일에 대하여 어떻게 심리할는지 몰라서 바울에게 묻되 예루살렘에 올라가서 이 일에 심문을 받으려느냐 한즉
21 바울은 황제의 판결을 받도록 자기를 지켜 주기를 호소하므로 내가 그를 가이사에게 보내기까지 지켜 두라 명하였노라 하니
22 아그립바가 베스도에게 이르되 이 사람의 말을 듣고자 하노라 베스도가 이르되 내일 들으시리이다 하더라

소송 사건을 소개하는 베스도
23 이튿날 아그립바와 버니게가 크게 위엄을 갖추고 와서 천부장들과 시중의 높은 사람들과 함께 접견 장소에 들어오고 베스도의 명으로 바울을 데려오니
24 베스도가 말하되 아그립바 왕과 여기 같이 있는 여러분이여 당신들이 보는 이 사람은 유대의 모든 무리가 크게 외치되 살려 두지 못할 사람이라고 하여 예루살렘에서와 여기서도 내게 청원하였으나
25 내가 살피건대 죽일 죄를 범한 일이 없더이다 그러나 그가 황제에게 상소한 고로 보내기로 결정하였나이다
26 그에 대하여 황제께 확실한 사실을 아뢸 것이 없으므로 심문한 후 상소할 자료가 있을까 하여 당신들 앞 특히 아그립바 왕 당신 앞에 그를 내 세웠나이다
27 그 죄목도 밝히지 아니하고 죄수를 보내는 것이 무리한 일인 줄 아나이다 하였더라

👀  베스도는 자신을 방문한 아그립바 왕에게 바울의 상소 건을 자문합니다. 왕은 베스도의 요청에 따라 바울의 말을 들어보기로 합니다.

👁  13-22절)  아그립바 왕의 방문을 계기로 바울이 총독과 왕과 고관들 앞에서 복음을 전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십니다.
  유대법을 모르는 베스도는 아그립바의 조언을 듣기 원했고, 아그립바는 호기심으로 바울의 말을 들으려 합니다. 그들끼리 의논한 대로 바울을 자신들 앞에 세운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하나님이 그들을 바울 앞에 세우고 계신 것입니다. 그들에게도 복음을 들을 기회를 주기 위해서입니다. 하나님은 복음이 필요한 사람들을 우리 앞으로 보내십니다. 그 기회를 놓치지 말고 복음을 증언하는 일이 우리 몫입니다.

  19절)  베스도는 바울의 소송 건이 '예수라 하는 이가 죽은 것을 살아 있다고 바울이 주장하는 그 일에 관한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그에게 예수님은 죽어 장사되어 유대인의 문제가 된 그 어떤 인물일 뿐입니다. 하지만 바울에게 예수님은 자신을 구원하기 위해 죽었다가 삼 일 만에 다시 살아나신 구원자이자 지금도 살아계신 생명의 주님입니다. 예수님을 바라보는 시각, 예수님에 대한 인식이 베스도와 바울의 차이입니다. 이는 불신자와 신자의 근본적인 차이입니다. 우리에겨 주님의 죽으심과 다시 살아나심은 어떠한 의미입니까? 주님의 부활이 우리 삶을 규정하고 생의 목표와 방향을 정해주고 있습니까?

  22-27절)  아그립바 왕과 여러 귀빈들 앞에서 베스도가 전하는 바울에 대한 소견은 한마디로 무죄입니다.
  그럼에도 그것이 문제가 되는 까닭은 황제에게 상소한 그 사건에 붙일 마땅한 죄명조차 없다는 것이 난감한 상황입니다. 그래서 베스도는 죄목을 찾기 위해 아그립바에게 도움을 요청한 것입니다. 우리의 삶이 바울과 같아야 합니다. 세상이 아무리 허물을 찾으려 해도 허물이 없는 선하고 정직한 삶이 우리의 것이어야 합니다. 다니엘을 시기한 사람들이 다니엘을 가리켜 한 '하나님의 율법에서 근거를 찾지 못하면 그를 고발할 수 없으리라'(단 6:5) 한  말이야말로 우리가 들어야 하는 말입니다.

🤎  본문에 등장한 인물 아그립바 왕, 베니게 총독, 베스도 이들은 모두 세상의 영광과 권력을 위해 사는 자들입니다.
  하지만 바울은 비록 죄인 신분이지만, 본인의 무죄를 밝히는것이 목적이 아닌, 복음을 전하기 위해 로마로 가게 될 것을 확신합니다. 세상 권력과 하나님 나라의 이야기인 것입니다. 우리들의 삶 속에 세상의 성취는 없더라도, 예수님 이야기는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예수님!
  세상 권세를 쫓는 것 보다 오늘도 제게 주시는 복음의 말씀을 쫓는 복된 날 되게 하옵시고, 아멘으로 순종할 수 있게 하옵시고
하나님 홀로 존귀와 영광 받으실 것을
주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여호와 샬롬 ~

# 하나님의 거룩한 자녀답게 순결하고 정직한 삶을 살게 하소서.
* 아프리카 성공회를 대표하는 여성 주교 6명이 한자리에 모여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앞으로도 아프리카 기독 여성들이 교회와 지역사회에서 리더로서 역량을 발휘하게 하실 것을
주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중보기도 드립니다.

찬송 : 420장,  너 성결키 위해
https://youtu.be/WVxw-1c8ZY8?feature=shared


https://youtu.be/tUQSQ-R4-cg?feature=sha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