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환 추기경 선종(善終). 명동 성당 안치
“한국 천주교의 큰 별” 김수환(金壽煥, 스테파노) 추기경이 16일 오후 6시12분께
노환에 따른 폐렴합병증으로 향년 87세의 나이로 선종(善終)했다.
우리는 국가의 큰 어른이자 정신적 지도자를 떠나보내게 된 것이다. 김 추기경은
단순히 한국 천주교회를 이끄는 종교 지도자가 아니었다. 교계와 우리 사회 전체를
이끄는 든든한 버팀목이자 어려운 시기 정신적 지주였다. 종교를 떠나 김 추기경 만
큼 모든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아온 인물도 없을 것이다. 평생을 병들고 가난한 사
람들을 몸소 돌보며 사회가 위기에 처할 때마다 고언을 아끼지 않으며, 종교를 뛰어
넘어 사회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 지도자였다. 1922년 5월 대구의 독실한 가톨릭
집안에서 출생한 김 추기경은 가톨릭대학교 신학부를 졸업한 후 1951년 사제서품을
받았고 1968년 대주교로 승품한 뒤 서울대교구장에 올랐다. 1969년 47세의 최연소의
나이로 교황 바오로 6세에 의해 한국인 최초로 추기경에 서임됐으며 천주교 주교회
의 의장, 아시아 천주교 주교회의 구성 준비위원장 등을 역임한 뒤 1998년 75세 정
년을 맞아 서울대교구장에서 은퇴했다. 그의 추기경 취임 일성은 “가난하면서도 봉
사하는 교회, 한국의 역사 현실에 동참하는 교회”였다. 이를 실천하는데 평생을 바
쳤다. 김 추기경은 한국 역사 속에 천주교회의 위상을 바로 세우는데 많은 기여를
했으며, 종교간 대화와 일치를 위한 노력으로 가톨릭 입장에서도 눈부시게 교세를
확장해 비약적인 성장을 보였다.
김 추기경은 노환으로 고통 받으면서도 마지막 순간까지 미소와 인간미를 잃지
않았다고 한다. 그가 최후까지 던진 메시지는 인간에 대한 사랑과 평화와 화해였다.
김 추기경이 평소 장기기증 의사를 밝힘에 따라 선종 직후 안구 적출 수술이 진
행됐으며 마지막 순간까지 사랑을 실천한 것이다. 또 김 추기경은“교회는 자기 자
체를 위해서가 아니고 세상을 위해서, 사회를 위해서, 남을 위해서 있다.”라고 말
했다. 실제 김 추기경은 교회 안에만 머물러있지 않고 역사의 고비 마다 소신 있는
발언을 쏟아내며 우리 사회가 나아갈 길을 밝혀왔다. 우리 사회에 평화와 정의를
실현하고자 했던 김 추기경은 사회에서 종교가 행할 역할과 종교인의 자세에 대해
일생을 통해 온 몸으로 보여줬다. 김 추기경의 뜻을 마음에 새기고 그 뜻이 실현되
도록 모두가 한 마음을 모으는 것이 남은 우리가 할 일이다.
이영길 객원기자 onet0@hanmail.net 2009.02.16
김수환 추기경 선종으로 명동성당 대 성전에서 집전 중인 장례미사에 유인촌 문화공보부 장관이
참석하여 조의를 표하고 있다.
'충청북도 뉴스 - (수도권뉴스 -이영길기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랜드 최희암 감독 통산 100승 쾌거 (0) | 2009.02.18 |
---|---|
삼산 월드 체육관 나들이.... (0) | 2009.02.18 |
동거하시는 하나님 (0) | 2009.02.13 |
김중현 교과부차관, 정부출연(연) 개혁「토론회」격려 (0) | 2009.02.11 |
성탄 칸타타 Happy Christmas (0) | 2009.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