욥기 9 : 17-35 나는 온전하다마는 20231113
의로운 욥을 정죄하시는 하나님
17 그가 폭풍으로 나를 치시고 까닭 없이 내 상처를 깊게 하시며
18 나를 숨 쉬지 못하게 하시며 괴로움을 내게 채우시는구나
19 힘으로 말하면 그가 강하시고 심판으로 말하면 누가 그를 소환하겠느냐
20 가령 내가 의로울지라도 내 입이 나를 정죄하리니 가령 내가 온전할지라도 나를 정죄하시리라
21 나는 온전하다마는 내가 나를 돌아보지 아니하고 내 생명을 천히 여기는구나
의인과 악인을 똑같이 대하시는 하나님
22 일이 다 같은 것이라 그러므로 나는 말하기를 하나님이 온전한 자나 악한 자나 멸망시키신다 하나니
23 갑자기 재난이 닥쳐 죽을지라도 무죄한 자의 절망도 그가 비웃으시리라
24 세상이 악인의 손에 넘어갔고 재판관의 얼굴도 가려졌나니 그렇게 되게 한 이가 그가 아니시면 누구냐
하나님의 정죄 앞에 헛된 수고
25 나의 날이 경주자보다 빨리 사라져 버리니 복을 볼 수 없구나
26 그 지나가는 것이 빠른 배 같고 먹이에 날아 내리는 독수리와도 같구나
27 가령 내가 말하기를 내 불평을 잊고 얼굴 빛을 고쳐 즐거운 모양을 하자 할지라도
28 내 모든 고통을 두려워하오니 주께서 나를 죄 없다고 여기지 않으실 줄을 아나이다
29 내가 정죄하심을 당할진대 어찌 헛되이 수고하리이까
30 내가 눈 녹은 물로 몸을 씻고 잿물로 손을 깨끗하게 할지라도
31 주께서 나를 개천에 빠지게 하시리니 내 옷이라도 나를 싫어하리이다
불공정한 하나님의 재판
32 하나님은 나처럼 사람이 아니신즉 내가 그에게 대답할 수 없으며 함께 들어가 재판을 할 수도 없고
33 우리 사이에 손을 얹을 판결자도 없구나
34 주께서 그의 막대기를 내게서 떠나게 하시고 그의 위엄이 나를 두렵게 하지 아니하시기를 원하노라
35 그리하시면 내가 두려움 없이 말하리라 나는 본래 그렇게 할 수 있는 자가 아니니라
👀 욥은 자신의 고난을 까닭 없는 하나님의 공격으로 알고 혼란스러워합니다. 하나님과 법정에서 만나더라도 이길 수 없다는 것을 알지만, 끝까지 자신의 의로움을 주장합니다.
👁 17-21절) 욥은 하나님이 의로운 자신을 죄인처럼 대하시는 것을 이해 할 수 없
었습니다.
숨도 쉬지 못할 정도로 자신을 괴롭게 하시는 하나님을 상대로 소송을 해볼까도 싶지만, 하나님을 법정에 세울 자신도 없고 하나님을 이길 가능성도 없어 보였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욥은 자신의 온전함을 끝까지 주장했습니다. 사탄은 내게 고난이 닥치면 그 고난이 내 죄 때문이라며 나를 정죄할 것입니다. 죄에 대해 민감한 것은 좋지만, 지나치게 자신을 탓하는 것은 나를 죄책감 속에 가두려는 사탄의 술수일 수 있습니다. 자기 자신을 객관적이고 냉철하게 살펴봅시다.
22-23절) 욥은 자신의 고난을 예로 들어 인과율이 적용되지 않는 현실을 지적했습니다.
세상을 보면 의인이든 악인이든 어떠한 구분 없이 심판에 처해지고, 아무리 무죄한 자라도 갑작스러운 재난에 목숨을 잃기도 합니다. 욥은 하나님을, 무죄한 자의 절망을 하늘에서 비웃으시는 잔인한 폭군인 듯 묘사하면서 인과율이 적용되지 않고 불의가 판치는 세상의 원인이 하나님이라고 항변했습니다. 불의의 원인을 하나님에게 돌리는 듯한 욥의 발언은 이 모든 일의 주권이 하나님에게 있음을 고백하는 솔직한 표현이기도 했습니다.
25-35절) 욥은 인생이 너무나 짧고 빠르게 지나가기 때문에 자신의 의로움을 입증하지 못한 채 생을 마감할 수 있다는 위기를 느꼈습니다.
자신이 아무리 깨끗하더라도 하나님은 자신을 정죄하기로 작정하셨으며, 자신의 고난이 이를 증명한다고 말했습니다. 욥은 절망에 빠져 무죄를 입증하려는 시도 자체를 포기하면서도 마지막으로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서 공정하게 재판을 다뤄줄 강력한 '판결자'를 바랐습니다. 욥이 진정으로 갈망하고 필요로 했던, 하나님과 사람 사이의 중보자가 바로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계속되는 고통 속에서 내 아픔과 억울함을 알아줄이가 없어 답답합니까? 나보다 먼저 이런 답답함과 고통을 당하시고, 이런 나를 위해 중보하시고, 마지막 날에 나를 변호하셔서 당당하게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게 하실 예수님을 의지합시다.
💚 욥은 자신에게 닥친 고난들이 무엇 때문인지 알고자 하나, 그것이 하나님의 뜻으로 기인된 것 외에는 알 수 없어 더욱 고통스러워 합니다.
그럼에도 욥은 하나님을 원망하거나 떠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욥의 고난에 대해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견딜 수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고난이 있을 것을 몸소 십자가에서 보여 주셨습니다. 우리들을 향해 '네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르라' 부르십니다. 그 길에 '세상이 너희를 미워 하나 이는 먼저 나를 미워하는 것이니라' 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러는 가운데 우리는 하나님을 믿는 것은 세상 모든 것의 주권자 되시는 하나님을 인정하고 따르는 것입니다. 우리가 하나님 나라에 소망을 두고 감사하게 하시는 것은 믿는 자녀들을 통해 존귀와 영광 받으시기 위함입니다. 이 하루도 인도하시는 예수님, 중보하시는 예수님을 따르는 삶으로 세상에 증인 되게 하옵시고
하나님 홀로 존귀와 영광 받으실 것을
주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여호와 샬롬 ~
# 까닭없는 고난 속에서 인내하며 중재자 되시는 예수님을 바라보게 하소서.
* 우간다에서는 연합민주군(ADF)의 공격으로 중등 기독학생 38명이 숨졌다.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책이 마련되어 생명을 잃은 어린 학생들의 유가족들이 위로 받게 하실 것을
주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중보기도 드립니다.
찬송 : 543장, 어려운 일 당할 때
https://youtu.be/kvmq3beVxNg?feature=shared
https://youtu.be/x0URRUhDwAU?feature=shared
'매일성경 - 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욥기 11 : 1-20 네가 어찌 알겠느냐 20231115 (1) | 2023.11.15 |
---|---|
욥기 10 : 1-22 지으신 것을 학대하십니까? 20231114 (1) | 2023.11.14 |
욥기 9 : 1-16 인생이 어찌 하나님 앞에20231112 (0) | 2023.11.12 |
욥기 8 : 1-22 전통에서 배우라 2023111 (0) | 2023.11.11 |
욥기 7 : 1-21 인생의 고통과 허무 앞에서 20231110 (0) | 2023.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