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절의 의미
1919년 3월 1일 일본의 식민통치에 항거하고, 독립선언서를 발표하여 한국의 독립 의사를 세계 만방에 알린 오늘입니다.
삼일절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전승국의 식민지에서 최초로 일어난 대규모 독립운동이기도 합니다.
◆ 민족대표 33인(民族代表三十三人)
민족대표 33인은 1919년 3·1 운동 때 발표된 기미독립선언서에 서명한 33명을 말합니다.
종교별로 나누어 대표를 선정하여 천도교, 기독교, 불교에서 각 15명, 16명, 2명씩 참가했다. 이 가운데 1919년 3월 1일에 약속 장속인 태화관에 나오지 않은 사람은 길선주, 유여대, 김병조, 정춘수이다.
상하이로 망명해 체포를 피한 김병조와 나중에 무죄 판결을 받은 길선주, 그리고 체포 직후 구금 중에 사망한 양한묵을 제외하고는 모두 이 사건으로 징역 1년 6개월에서 3년형을 선고 받고 옥고를 치렀다. 이들중 손병희등은 복역 중 병사하였다.
◆ 유관순 열사
삼일절하면 떠오르는 분이있죠. 바로 유관순 열사입니다. 충청남도 천안에서 태어났다. 1915년 선교사의 소개로 이화학당 보통과 2학년에 편입하였으며, 1918년에는 고등과 교비생으로 입학하였다.
1919년 3.1운동 일어나자 학생들과 함께 가두시위를 벌였고, 학교가 휴교에 들어가자 만세시위를 지휘하기 위하여 고향으로 내려갔다.
천안 연기 청주 진천 등지의 학교와 교회 등을 방문하여 만세운동을 협의하고 음력 3월 1일 아우내장터에서 3,000여 군중에게 태극기를 나누어 주며 시위를 지휘하다가 출동한 일본 헌병대에 체포되었다.
그후 복심법원에서 3년형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 중 고문에 의해 옥사하였다.
18세의 어린나이로 유관순 열사가 서대문형무소에서 받은 온갖고문은 인간으로서 차마 할 수 없는 잔인한 것이었습니다.
영국의 멕켄지라는 기자는 3.1운동을 목격하고 "자유를 향한 한국인의 투쟁"이라는 책을 써서 3.1운동은 반정부 폭동이 아니라 독립을 간절히 원하는 한국 사람들의 목소리인 것을 서양에 알리기도 했답니다.
대한민국을 위해 순국하신 그분들이 있었기에.. 지금의 우리가 있을 수 있음을 잊어서는 안되겠죠.
오늘은 제 95주년 삼일절입니다. 오늘 하루만은 나라의 독립을 위해 애썼던 순국선열들을 기리며 경건하게, 감사한 마음으로 자녀에게 삼일절의 의미에 대해 알려주세요.
★ 태극기를 못 다신분들은 이글을 공유하여 1919년 오늘처럼 대한민국 국민 가슴마다 태극기가 넘쳐나는 삼일절이 되도록! 게양해 주시기 바래요~*★
'세상에 이런 일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주년 우주 허블 망원경을 통한 신비의 명작 7선 발표 (0) | 2014.04.27 |
---|---|
세월호 조난을 워한 기도 (0) | 2014.04.17 |
나사가 발표한 노란 태양 (0) | 2014.01.01 |
NASA 가 공개한 유령별들의 모습 (0) | 2013.11.19 |
[스크랩] 자연의 신비 세계10대 불가사이한 풍경 (0) | 2013.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