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백주년기념관 1층 소강당에서 제20차 열린대화마당을 개최했다.
이날 대화마당은 종교개혁 494주년을 기념해 ‘교회 사유화, 그 대안을 모색한다’는 주제로 열렸다.
기조발제를 맡은 박은조 목사(한목협 부회장, 분당샘물교회)는 분당샘물교회를 개척한 이후 13년 목회경험을 소개하며, ‘하나님이 주인되시는 교회’를 세우기 위한 그간의 노력들을 설명했다.
분당샘물교회는 교회의 모든 수입과 지출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교회 재정의 모든 지출은 재정부가 관할하도록 제도화했다.
박은조 목사는 “재정을 모으고 사용하는 방법을 보면 그 교회의 주인이 누구인지 알 수 있다”며 “샘물교회는 성도들이 교회홈페이지에 들어와 교회 수입과 지출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모든 재정을 공개하고 있다”고 밝혔다.
분당샘물교회는 개척 초기부터 재정 규칙을 제도화시켜, 각 부서나 팀장에서 지출을 결정하고 목회자나 장로들이 그 결정에 전혀 개입할 수 없도록 했다. 모든 지출은 재정부에서 관리, 감독하며 결의되지 않은 지출은 금지돼있다.
박 목사는 “어느 누구도 회의에서 결정하지 않은 돈을 지출할 수 없게 제도적으로 만들어놨더니 단 한 번도 재정사고가 없었다”며 “재정이 건강하면 교회도 건강해진다”고 말했다.
또한 교회에서 특정인이 주인 노릇하는 것을 막기 위한 방법으로 목사와 장로의 임기제를 채택했다.
분당샘물교회의 담임목사는 6년 사역 후 신임을 묻고 1년 연구년을 가지는 7년 임기제로, 당회와 공동의회에서 2/3 이상 찬성을 얻으면 한번 더 시무할 수 있다. 장로는 5년제로 신임을 묻고, 담임목사와 마찬가지로 당회 및 공동의회 찬성을 거쳐 다시 시무할 수 있도록 했다.
박 목사는 후임목사 청빙에도 전혀 개입하지 않을 것을 선언했다. 이에 따라 당회는 청빙위원회를 구성, 2대 담임목사를 최종 결정했으며 공동의회 절차만을 남겨놓고 있다. 내년 연말, 박 목사는 샘물교회 14주년을 기념하며 공식적인 퇴임식을 갖게 된다.
박 목사는 “‘샘물교회를 잘 아는 사람이 나고, 목사를 제대로 알아보는 사람도 나다’라고 생각했다”며 “그러나 하나님의 뜻을 깨달은 후, 청빙에 간섭하지 않았고 청빙위원회에 맡긴 결과 모든 과정이 잘 이루어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샘물교회는 이미 분립 개척해 샘빛교회, 판교샘물교회, 다우리교회 등 3개 교회를 세웠다”며 “퇴임 후 분립개척교회를 세우는 운동을 계속하고 싶다”고 밝혔다.
기조발제에 이어 이만열 교수(숙명여자대학교), 나이영 부장(CBS 종교부), 차우열 목사(한목협 공동총무, 상록수성결교회)의 논찬이 이어졌다.
나이영 부장은 ‘한국교회 위기는 교회 사유화에서 시작됐다’는 제목의 논찬을 통해 개 교회의 재정관리 사례들을 소개했다.
그는 “교회에 대해 내가 가장 잘 알고 내가 개척했고 내가 이만큼 키웠고 내가 가장 교회를 사랑한다고 생각하는 순간, 교회는 내 것이 된다”며 “교회를 개척한 목사도, 대대로 한 교회를 섬겨온 장로도, 목소리 큰 어느 누구도 교회를 사유화하려 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이어 교회 사유화를 견제할 대안으로 ▲교단의 치리기능이 제대로 작동할 것
▲민주적인 교회 운영 ▲분립개척을 권장하는 분위기 확산 ▲목회자 세습 지양 등을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