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의 유래 알고나 살자
추석의 유래와 풍습
추석(음력 8월15일)
삶이 아무리 어렵고 힘겨워도 이날만큼은
예쁜 옷 입고 결실의 느낌을 만끽해 보십시오.
조상임도 기뻐할 정성껏 차린 차례 상과 음식들
즐겁기만 합니다.
유래
추석을 '한가위'라고도 해요.
'한'이란 크다는 뜻이고,
'가위'는 '가운데'란 뜻입니다.
그러니까 8월의 한가운데 있는 큰 날이란 뜻이지요
가위'란 신라 때 길쌈놀이인 '가배'에서
나온 말이라고 합니다.
신라 유리 왕 때 여자들을 두 패로 갈라서
베를 짰는데 한 달 뒤 결과를 봐서
승패를 결정했습니다.
진 편은 이긴 편에게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잔치로 갚음을 했는데 여기서 '가배'란 말이 나왔고
나중에 '가위'란 말로 변했다고 합니다.
그 후로 한가윗날 베를 짜는 풍습은
오랫동안 지켜져 내려왔습니다.
풍습
추석은
농사일로 바빴던 일가 친척들이 모처럼
함께 모여 음식을 나눠 먹고 놀이도 했습니다.
특히 시집간 딸이 친정 어머니와 중간에서 만나
가져온 음식을 나눠 먹으면서 회포를 푸는
중로상봉을 하기도 했습니다.
추석은 풍성함을 감사하고 나누는 날이라
아무리 가난한 사람도 떡을 빚어 나눠 먹었습니다.
그래서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란' 말이 나왔다고 합니다.
우리들도 하나님께서 주신 자연열매를 통하여 감사하며
이웃과 나누는 하나님의 창조질서에 합당하게 살아가는 것이
인간들의 본분이라 하겠습니다
우리는 예수님의 삶을 나타내야하는 책임이 모두ㅜ 있습니다
샬롬
'나눔의 아름다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의 비경 (0) | 2007.09.22 |
---|---|
내 금강의 비경 속으로... (0) | 2007.09.22 |
[스크랩] 제3 회 정기 연주회 초청 (0) | 2007.09.13 |
울릉도 비경 (0) | 2007.08.06 |
아름다운 우리강산 (0) | 2007.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