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롭게 공부하는 성경공부

성견인물공부 -- 유다

91moses 2015. 5. 3. 21:21

유다 야곱의 네째아들(창 44:14-34)

 
1. 유다 - “찬양” 이라는 뜻, 창세기29:35, 38:11-30, 49:3-12 민수기24:16-19 여호수아 15:1-12

2. 실수의 사람 - * 요셉을 죽이지 말고 이스마엘 상인에게 팔자고 제안(은 20)(창 37:26∼27). * 두 아들의 죽음 이후 셋째 아들이 성장하면 계대 결혼을 시켜 주겠다고 며느리 다말에게 약속 하지만, 계속 약속을 어기는 유다를 향해 다말이 일을 꾸밈(38:16-18). 그 결과 쌍둥이 아이를 갖는 엄청난 실수를 저지른다(38:29-30). * 유다 자신의 잘못된 판단 뉘우침 창38:26 “유다가 그것들을 알아보고 이르되 그는 나보다 옳도다 내가 그를 내 아들 셀라에게 주지 아니하였음이로다 하고 다시는 그를 가까이 하지 아니하였더라”
지도력이 탁월한 인물 - 가나안 땅에 큰 기근이 닥쳤을 때에는 아버지 야곱을 설득하여 막내 베냐민을 애굽으로 함께 데려갔으며(창 43:8∼10), 애굽 땅에서 베냐민이 누명을 쓰고 억류당하게 되었을 때에는 자기희생을 무릅쓰고 애굽의 총리를 설득하는 일을 맡았다.(창 44:14∼34).

3. 변화된 자(창 44:14~34; 49:8~12)  이 사건의 가장 긴장이 감도는 절정에 다다른 것이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창세기에서 가장 길고도 감정이 넘치는 유다의 호소를 듣게 된다(창 44:18~34). 어떤 학자는 이 부분을 구약에서 가장 고귀하고도 설득력 있는 웅변의 표본이라고 평했다. 유다의 호소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1) 전체적으로 아버지라는 말을 14번 사용함으로 아버지에 대한 자식으로서의 도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아버지'라는 말은 요셉의 심금을 울리기에 이미 충분한 단어이다. 이에 더해 아버지가 자신들이 아닌 요셉과 베냐민을 더 사랑한다는 뼈아픈 현실을 이제는 그대로 담담히 인정하여 받아들이고 있다(창 44:20). 이제 그들도 그것을 시기와 미움으로 받아들이기보다는 깊은 이해와 자신들의 죄를 통감하는 자책과 동시에 화해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이다. 어떤 학자는 이 부분을 과거의 형제간에, 부모 자식 간에 끊어졌던 고리를 심리적으로 도덕적으로 하나하나 다시 묶는 놀라운 언변이라고 찬사했다(영적인 치료).  
(2) 베냐민이 돌아오지 않을 경우에 일어날 결과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창 44:30~32). 그렇게 되면 아이의 생명과 아비의 생명이 결탁되어 있어 아이의 없음을 보면 아버지가 돌아가시게 된다는 것을 설명한다. 이것을 듣는 요셉의 심정은 어떻겠는가? 
(3) 아버지를 살리기 위해 자신이 베냐민을 대신하여 종이 되겠다고 간청한다. 과거에 요셉을 돈 받고 종으로 팔아버린 그 잔인하고 냉정하고 이기적인 유다, 피로 얼룩져 찢겨진 채색 옷을 보며 울부짖는 아비를 속이기에 앞장섰던 유다가 이제는 (자기보다 더 사랑 받는) 동생을 대신하여 종이 되며, 그 아비가 다시 한 번 같은 슬픔을 경험하지 않도록 자신을 희생하기로 결심한 것이다. 작은 십자가 사건이 일어난 것이다. 유다야말로 변화된 자(The transformed one)의 가장 아름다운 모습이라 하겠다. 자신을 희생함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하려 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유다는 야곱에게서 "너는 네 형제의 찬송이 될 지라"라는 그의 이름을 반영하는 축복을 받게 된다(창 49:8~12).  

4. 왕권의 축복을 받은 인물 - 형제들 중 유다의 탁월한 지도력은 아버지 야곱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음에 틀림없다. 그래서 야곱은 임종을 앞둔 마지막 유언에서 유다에게 특별한 축복을 해주었다. 유다를 사자에 비유하면서 ‘규와 치리자의 지팡이가 그를 떠나지 않을 것’이라는 왕권의 축복을 해주었다(창 49:8∼12).

이러한 축복으로 인해 유다의 후손들은 이스라엘을 다스리는 왕의 가문을 형성했으며 마침내 온 인류를 다스릴 영원한 왕이신 메시아가 유다 가문의 혈통을 타고 이 땅에 임하게 되었다. 비록 유다는 시기하고 실수하는 평범한 인간이었지만 하나님은 유다의 지도력을 높이 사서 그에게 왕권의 축복을  베푸시고 메시아(Messiah) 가문을 형성하게 하는 큰 영광을 주셨던 것이다

 

팀별 나눔

나눔 – 한 주간 하나님의 은혜를 얼마만큼 사모하셨습니까?

(1) 예수님을 영접하고 난 후 나에게 일어난 가장 큰 변화는 무엇입니까?

(2) 부모와 자녀, 부부사이에 얼마만큼 용서하며 이해하고 있습니까?  

(3) 유다는 변화된 이 후 희생하는 자로 변하였습니다. 누군가를 희생을 해 보신적인 있으십니까?














'지혜롭게 공부하는 성경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 인물 -- 하와  (0) 2015.05.03
성경인물 공부 -- 아담  (0) 2015.05.03
성경공부 --모세  (0) 2015.05.03
사도신경에 감춰진 비밀  (0) 2015.03.29
언약괘 발견  (0) 201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