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성경 - 에스더

에스더 9 : 20-10 : 3  부림에 대한 일  20250522 부림절의 제정 20 무르드개가 이 일을 기록하고 아하수에로 왕 각 지방에

91moses 2025. 5. 22. 06:46

에스더 9 : 20-10 : 3  부림에 대한 일  20250522

부림절의 제정
20 무르드개가 이 일을 기록하고 아하수에로 왕 각 지방에 있는 모든 유다인에게 원근을 막론하고 글을 보내어 이르기를
21 한 규례를 세워 해마다 아달월 십사일과 십오일을 지키라
22 이 달 이 날에 유다인들이 대적에게서 벗어나서 평안함을 얻어 슬픔이 변하여 기쁨이 되고 애통이 변하여 길한 날이 되었으니 이 두 날을 지켜 잔치를 베풀고 즐기며 서로 예물을 주며 가난한 자를 구제하라 하매
23 유다인들이 이미 자기들이 시작한 대로 또한 모르드개가 보낸 글대로 계속하여 행하였으니
24 곧 아각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 모든 유다인의 대적 하만이 유다인을 진멸하기를 꾀하고 부르 곧 제비를 뽑아 그들을 죽이고 멸하려 하였으나
25 에스더가 왕 앞에 나아감으로 말미암아 왕이 조서를 내려 하만이 유다인을 해하려던 악한 꾀를 그의 머리에 돌려보내어 하만과 그의 여러 아들을 나무에 달게 하였으므로
26 무리가 부르의 이름을 따라 이 두 날을 부림이라 하고 유다인이 이 모든 말과 이 일에 보고 당한 것으로 말미암아
27 뜻을 정하고 자기들과 자손과 자기들과 화합한 자들이 해마다 그 기록하고 정해 놓은 때 이 두 날을 이어서 지켜 폐하지 아니하기로 작정하고
28 각 지방, 각 읍, 각 집에서 대대로 이 두 날을 기념하여 지키되 이 부림일을 유다인 중에서 폐하지 않게 하고 그의 후손들이 계속해서 기념하게 하였더라

에스더의 부림절 준수 명령
29 아비하일의 딸 왕후 에스더와 유다인 모르드개가 전권으로 글을 쓰고 부림에 대한 이 둘째 편지를 굳게 지키게 하되
30 화평하고 진실한 말로 편지를 써서 아하수에로의 나라 백이십칠 지방에 있는 유다 모든 사람에게 보내어
31 정한 기간에 이 부림일을  지키게 하였으니 이는 유다인 모르드개와 왕후 에스더가 명령한 바와 유다인이 금식하며 부르짖은 것으로 말미암아 자기와 자기 자손을 위하여 정한 바가 있음이더라
32 에스더의 명령이 이 부림에 대한 일을 견고하게 하였고 그 일이 책에 기록되었더라

모르드개의 명성
10 :
1 아하스에로 왕이 그의 본토와 섬들로 하여금 조공을 바치게 하였더라
2 왕의 능력 있는 모든 행적과 모르드개를 높여 존귀하게 한 사적이 메대와 바사 왕들의 일기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
3 유다인 모르드개가 아하수에로 왕의 다음이 되고 유다인 중에 크게 존경 받고 그의 허다한 형제에게 사랑을 받고 그의 백성의 이익을 도모하며 그의 모든 종족을 안위하였더라

👀  모르드개와 에스더의 편지로 부림절은 이스라엘이 지켜야 할 새로운 절기가 되었습니다. ‘부림절’은 하만의 주사위 ‘부르’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  전체) 에스더서의 하나님은 끝까지 모습을 드러내지 않으십니다.
  바다가 갈라지고 태양이 멈추는 기적도 없습니다. 하지만 소소한 일상과 우연히 씨줄과 날줄처럼 얽혀 반전과 역전을 만들어냈습니다. 베옷과 재를 뒤집어쓰고 금식하던 슬픔이 기쁨과 축제로 뒤집혔습니다. 학살의 난이 구원의 날이 되었습니다. 도리어 페르시아 안에 도사리던 적들을 제거하여 그 땅에서 안식을 얻은 날이 되었습니다. 이날은 ‘부림절’이라는 유다인의 명절로 지정됩니다. 즐거이 잔치하며 기념할 뿐 아니라, 서로 예물을 주며가난한 사람을 구제함으로써 값없이 받은 은혜를 실천하는 날입니다. 하나님은 보이지 않고 우리의 시야를 둘러싼 세상의 제도가 우리의 운명을 좌지우지하는 듯하지만, 그 어떤 것도 우리를 ‘예수 안에 있는 하나님의 사랑에서 끊을 수’ 없습니다(롬 8:39).

  24-26절)   ‘부림절’이라는 이름은 유다 민족을 진멸할 날을 정하기 위해 하만이 사용했던 주사위 ‘부르’에서 나왔습니다.
  하나님은 우상숭배자의 주사위 놀이 조차 자신의 계획 속에 두셨습니다. 내 삶을 겁박하는 세상의 모든 ‘부르’를 찬송과 간증의 ‘부림절’로 뒤집으실 반전의 역사를 소망합시다.

  29-32절)  에스더가 부림절 준수가 얼마나 중요한지 확증합니다,
  유다인들이 죽음의 위기 앞에서 자발적으로 울며 회개하고 간구하였듯이, 이 부림절도 자원하는 마음으로 지키라고 명령합니다. 우리의 구원이 완성 될 때까지 구원을 기억하고 기념하는 영적인 부림절은 예배와 구제와 섬김을 통해 계속 준수되어야 합니다.

  10 :
  1-3절)  아하스에로의 나라는 하만이 다스릴 때보다 모르드개가 다스릴 때 더욱 번영을 누립니다.
  사적인 관심에만 몰두하던 아하스에로 왕과 탐욕에 눈이 먼 하만과 달리, 하나님의 사람 모르드개는 백성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고 그의 모든 종족의 안위(샬롬)를 먼저 생각합니다. 우리도 어려운 시절을 지나는 교회와 사회에서 모르드개처럼 사람들을 이롭게 하며 안위하는 사람이 되기를 소망합시다.

🤎 (에스더 9:20-10:3)  부림절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완성 되었습니다.
  우리의 삶에서도 하나님의 임재가 느껴지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기억해야 합니다. 예수님의 죽으심을 통해, 우리는 구원받은 은혜를 받았습니다. 예수님의 부활을 통해, 우리는 소망을 붙들 수 있습니다. 예수님의 다시 오심을 통해, 우리는 이 시대를 살아낼 사명을 확인하게 됩니다. 하나님의 이름이 들리지 않아도, 그분은 지금도 우리 안에서 일하고 계십니다.
하나님!
  유다인들을 멸하려던 아각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 하만의 교만으로 페르시아 제국 내 모든 유다인을 도륙하고 진멸하려는 계획을 통해, 반전의 역전을 계획하시고 돌이키시는 하나님의 역사를 보게 하심으로, 오늘 이 땅에 사악하고 간교한 무리들이 하나님의 역사를 바꾸려하는 간교함을 지켜 보시고, 돌이키게 하옵소서. 베옷과 재를 뒤집어 쓰고 금식하던 유다인들의 슬픔을 기쁨과 축제로 바꾸어 주셔서, '학살의 날이 구원의 날'이 되게 하신 자비와 은혜를 누릴 수 있게 하옵소서. 사적인 관심에만 몰두하던 아하수에로 왕과 탐욕에 눈이 먼 하만의 때와 달리, 모르드개는 백성의 이익과 종족과 나라의 안녕을 먼저 생각하고 행함으로 나라가 번영하게 하였음을 바라보게 하옵소서. 개인의 사리사욕과 탐욕을 내세우지 않고, 이 나라 이 민족의 번영과 평안을 먼저 생각하고, 하나님의 뜻을 거역하지 않고, 하나님의 뜻을 따라 순종하고, 국민을 지배하는 자가 아닌 국민을 섬길 수 있는 이를 택할 수 있는 지혜와 권능을 덛입혀 주시옵소서.
하나님, 하나님 보시기에 합당한 이로 이 땅의 위정자로 택함 받아 세움 받게 하옵시고, 이를 위해 날마다 올리는 기도와 간구에 귀 기울여 주시옵소서.
하나님의 임재가 느껴지지 않아도, 언제나 역사 속에 함께하시고, 오늘도 역사를 써 가시는
하나님 홀로 존귀와 영광 받으실 것을
주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여호와 샬롬 ~

# 공동체의 샬롬을 추고하는 성도로 살아가게 하소서.
** 케냐 성공회와 카톨릭교회는 출처가 불분명한 정치적 기부금을 거부하기로 했다. 케냐 교회들이 윤리적 청렴함과 신앙적 거룩한 가운데 더욱 성장하게 하실 것을
주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중보기도 드립니다.

찬송 : 179장,  주 예수의 강림이
https://youtu.be/j5FJPTexmJE?feature=shared


https://youtu.be/MVTL-VJzEAc?feature=sha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