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태복음 21 : 23-32 권위 논쟁 20230316
마태복음 21 : 23-32 권위 논쟁 20230316
예수님의 권위에 대한 도전
23 예수께서 성전에 들어가 가르치실 새 대제사장들과 백성의 장로들이 나아와 이르되 네가 무슨 권위로 이런 일을 하는ㆍ 또 누가 이 권위를 주었느난
24 예수께서 대답하시되 나도 한 말을 너희에게 물으리니 너희가 대답하면 나도 무슨 권위로 이런 일을 하는지 이르리라
25 요한의 세례가 어디로부터 왔느닌ㆍ 하늘로부터냐 사람으로부터냐 그들이 서로 의논하여 이르되 만일 하늘로부터라 하면 어찌하여 그를 믿지 아니하였느냐 할 것이요
26 만일 사람으로부터라 하면 모든 사람이 요한을 선지자로 여기니 백성이 무섭다 하여
27 예수께 대답하여 이르되 우리가 알지 못하노라 하니 예수께서 이르시되 나도 무슨 권위로 이런 일을 하는지 너희에게 이르지 아니하리라
두 아들의 비유
28 그러나 너희 생각에는 어떠하냐 어떤 사람에게 두 아들이 있는데 맏아들에게 가서 이르되 애 오늘 포도원에 가서 일하라 하니
29 대답하여 이르되 아버지 가겠나이다 하더니 가지 아니하고
30 둘째 아들에게가서 또 그와 같이 말하니 대답하여 이르되 싫소이다 하였다가 그 후에 뉘우치고 갔으니
31 그 둘 중의 누가 아버지의 뜻대로 하였느냐 이르되 둘째 아들이니이다 예수께서 그들에게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세리들과 창녀들이 너희보다 먼저 사나님의 나라에 들어가리라
32 요한이 의의 도로 너희에게 왔거늘 너희는 그를 믿지 아니하였으되 세리와 창녀는 믿었으며 너희는 이것을 보고도 끝내 뉘우쳐 믿지 아니하였도다
👀 예수님이 성전에서 하신 일이 거슬린 대제사장들과 장로들은 예수님의 권위를 문제 삼지만, 예수님은 그들에게 그럴 만한 권위가 없음을 드러내십니다.
👁 23절) 대제사장과 장로들은 예수님이 성전에서 장사꾼들을 몰아 내시고, 몸이 불편한 사랑들을 고치시며, 사람들을 가르치시는 것 때문에 심기가 불편 했습니다. 그렇지만 예수님을 막을 명분이 없었습니다. 예수님의 능력은 분명했고, 가르침은 흠잡을 데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런 상황에서 유대 지도자들이 들고 나온 무기는 '권위', '자격'이었습니다. 예수님은 유대 사회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제사장시나 서기관이 이니었기 때문에, 예수님을 무자격 자로 몰아 그 입을 막으려는 속셈이었습니다. 누군가의 자격을 논하고 싶어진다면, 그의 참말이 거북스러워서일 수 있습니다. 권위와 자격을 앞세워 참말을 하는 사람은 입을 막는 사람은 되지 맙시다.
24-27절) 대제사장들과 장로들은 '요한의 세례(침례)가 어디로부터 왔느냐?' 하신 예수님의 질문여 당황했습니다.
'하늘로부터'라고 하면 요한을 인정하지 않은 자신들의 입장이 공격 받을 것이고, '사람으로부터'라고 하면 요한을 선지자로 여긴 백성이 반발할 것이 분명했기 때문입니다. 정치적 고려 끝에 그들은 '모른다'고 대답했습니다. 이는 그들이 권여의 정당성을 판단할 자격이 없음을 스스로 인정한 셈이었습니다. 이처럼 자신의 권위나 이익에만 집착하면 하나님의 말씀도 들리지 안게 됩니다. 욕심을 내려놓을 때, 비로소 참된 권위를 발견하고 진리에 귀 기울일 수 있게 됩니다.
28-32절) 예수님의 비유에서 가겠다고 하고서 가지 않은 아들은 '유대 지도자들'을, 싫다고 했다가 그 후에 뉘우치고 간 아들은 '세리와 차여'와 같은 죄인들을 가리킵니다.
뉘우친 아들이 아버지의 뜻대로 행했다고 대답한 성전 지도자들은 자기 잘못을 인정한 꼴이었습니다. 예수님은,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으라'(3:8)는 세례 요한의 호소를 외면한 지도자들보다 '회개하라 천국이 왔느니라'(3:2)는 요한의 요구대로 자기 죄를 뉘우친 세리와 창녀들이 먼저 하나님 나라에 들어간다고 선언하셨습니다. 하나님 나라는 회개하지 않는 자칭 의인이 아니라 회개하고 그에 합당한 열매를 맺는 사람의 것입니다.
💚 예수님의 권위를 순종하면, 그 분의 사명에 순종합니다.
강도의 소굴로 뒤바뀐 예루살렘 성전을 청소하시고, 주님께 나아온 맹인들과 저는 자들을 치유해 주시고,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십니다. 이런 예수님으로 인해 난처해진 대제사장들과 백성의 장로들이 그들 자신을 위해, 예수님께 '무슨 이유로 이런 일을 하며, 또 누가 이 권위를 주었는가' 묻습니다. 예수님은 '세례 요한은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 되심을 선언하고, 주의 길을 예비한' 것을 인정하느냐 되 묻습니다, 그들은 회개보다 자신들의 기득권을 지킬 방법을 모색합니다. 이에 예수님은 아버지께서 포도원에 가서 일하라는 말을 듣고 '가겠다고 대답하고,가지 않은' 첫째 아들과 '싫다고 대답하였으나, 포도원에 들어간' 둘째 아들의 비유를 들어 말씀 하십니다. 첫째 아들 처럼 '종교 지도자'들은 결국 말씀을 거역하는 자들이라 지적하시고 끝까지 회개를 촉구하십니다. 그러나 둘째 아들과 같이 말씀에 순종하는 자들은 이 땅에 소외된 자들입니다. '먼저 된 자가 나중되고, 나중 된 자가 먼저 되리라'하신 말씀대로 이루워진 것입니다. '초청' 받은 것과 '구원' 받는 것은 다른 것입니다. 사명자로 사는 이들이 하나님 나라의 자녀들입니다.
하나님, 나는 회개한 자인가? 하나님의 뜻을 순종하는 자인가? 돌아보게 하옵소서. 비록 고난 중에 살아갈 지라도 다시 한 번 주신 사명을 깨닫고 인정하며 순종하게 하옵시고,
주님 홀로 존귀와 영광 받으실 것을
주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여호와 샬롬 ~
# 욕심과 아집을 버리고,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으며 살게 하소서.
* 콩고 민주 공화국의 그리스도인들이 이슬람의 테러 위협에도 굳건하게 믿음을 지키고, 무장 세력에 납치된 그리스도인들도 안전하게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게 하실 것을
주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중보기도 드립니다.
찬송 80장, 천지에 있는 이름 중
https://youtu.be/BE8iTI5INRM
https://youtu.be/Ewshs1LJvnQ